WTPQ21 RJTD 180600 RSMC TROPICAL CYCLONE ADVISORY NAME STS 1313 PEWA (1313) ANALYSIS PSTN 180600UTC 12.0N 180.0E FAIR MOVE WNW 10KT PRES 994HPA MXWD 050KT GUST 070KT 30KT 120NM FORECAST 24HF 190600UTC 13.8N 175.5E 75NM 70% MOVE WNW 11KT PRES 980HPA MXWD 055KT GUST 080KT 48HF 200600UTC 15.3N 172.0E 110NM 70% MOVE WNW 10KT PRES 975HPA MXWD 060KT GUST 085KT 72HF 210600UTC 17.0N 168.2E 160NM 70% MOVE WNW 10KT PRES 975HPA MXWD 060KT GUST 085KT =
중태평양에서 발생한 열대폭풍 01C PEWA가 북서태평양으로 넘어오면서 "13호 태풍 페바"가 되었다. 오후 3시 현재 세력은 994hPa/50KT(25m/s)이며, 당분간 서북서~북서진하는 예상이다.
원래 13호 태풍의 이름은 "콩레이"로 예정되어 있으나 이 같은 경우 중태평양 허리케인 센터(CPHC)로부터 명명된 이름을 그대로 쓰게 된다.
중태평양 열대폭풍이 태풍으로 인정된 것은 2006년 8월 27일, 허리케인 이오케가 북서태평양으로 넘어온 이래 거의 7년 만의 일인데, 90년대~2000년대 초반까지는 2년에 1번 꼴로 볼 수 있던 사례였지만 최근에는 그 수가 다소 줄어들었다.
한편, 지금까지 총 13개의 태풍이 인정됨으로써 평년 이맘때(11.6개)보다 많은 발생 수를 기록하고 있다.
위성 영상(gif)을 보면 태풍은 최근 수시간 동안 약화 경향에 있음이 확인된다. 해수면 온도는 28도 안팎으로 나쁘지 않지만 연직 시어가 강한 구역으로 진입하면서 대류운이 흐트러지는 모습. 게다가 북동쪽에 위치한 열대요란 90C가 발달함에 따라, 90C로부터의 순환이 태풍 페바의 상층 발산을 방해하고 있다. 이것이 지속된다면 태풍은 한동안 발달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JTWC 18/0532Z : T2.5/3.0
CPHC 18/0532Z : T3.5/3.5
NOAA SAB 18/0600Z : T3.0/3.5
위성 해석에서는 기관별로 CI3.0~3.5를 분석하고 있다. JTWC와 NOAA SAB의 해석에는 최근 수시간 동안의 약화가 반영됐기 때문에 T값(앞의 숫자)이 CI값(뒤의 숫자)보다 작다.
※중태평양 허리케인(열대폭풍)이 태풍으로 인정된 그 밖의 사례 (2000년대)
1. 0612 태풍 이오케(IOKE)
2. 0224 태풍 허코(HUKO)
3. 0217 태풍 엘레(ELE)
'◆ 감시 정보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 02C UNALA; 14호 태풍 우나라 #2 - 2번째 중태평양산(産) 태풍 (0) | 2013.08.20 |
---|---|
TY 01C PEWA; 13호 태풍 페바 #4 - "3등급"으로 발달 예상 (0) | 2013.08.19 |
TD 13W THIRTEEN #2 - 태풍 발생 예보 취소 (0) | 2013.08.18 |
TD 12W TRAMI; 12호 태풍 짜미 #2 - "짜미" 발생 (0) | 201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