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시 정보 590

2024년 23호 태풍 도라지, 24호 태풍 마니, 25호 태풍 우사기 전망과 '역대급' 11월 태풍 시즌

2024년 11월 10일 오후 9시 현재, 북서태평양에는 3개의 태풍(22호 태풍 인싱, 23호 도라지, 24호 마니)과 예비 25호 태풍 우사기(94W) 등을 통틀어 총 4개의 열대성 시스템이 활동하고 있다. 11월 9일 하루에만 23호, 24호 태풍이 연달아 발생했다. 본격적인 겨울을 앞둔 11월이라는 시기에 태풍 3개가 한꺼번에 존재했던 사례는 극히 드문데, 북서태평양에서는 1968년의 사례(25호, 26호, 27호 태풍이 동시 활동)가 유일하다. 만일 현존 태풍들이 소멸하기 전에 '우사기'까지 공식 발생한다면 무려 4개의 태풍이 동시 활동하면서 관측 사상 최초의 '역대급' 11월 태풍 시즌이 된다. 위성 영상을 보면 나란히 줄지어 있는 태풍 및 열대저기압 등의 모습이 확인된다. 북태평양 고기압의 ..

2024년 22호 태풍 인싱(YINXING)의 필리핀 영향과 베트남 접근 예보, 대륙고기압 남하와 대한민국 날씨

《11월 7일 오후 10시 35분 UPDATE》 22호 태풍 '인싱'은 육지(루손 섬)와의 마찰에도 불구하고 발달을 이어가, 11월 7일 오후 3시 기준 세력이 중심기압 937hPa / 1분 최대풍속 125KT(약 65m/s)의 SSHWS '4등급'에 이르렀다. 위성 영상을 보면 뚜렷한 '눈'과 운정온도 -70도 이하의 두꺼운 중심권 대류역이 존재한다. 또한 외곽으로는 폭발적인 상층 발산을 시사하는 방사형(放射形)의 구름대를 확인할 수 있다. 태풍이 필리핀 인근에서 상정 외의 발달을 이루긴 했지만, 향후 예상 진로나 남중국해에서의 세력 등은 딱히 달라지지 않았다. 남중국해의 부정적 환경(강해지는 연직 시어와 건조 공기)이 개선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태풍 '인싱'은 베트남에 접근할 무렵에는 소멸이 임박한..

2024년 21호 태풍 콩레이 예상 경로와 20호 태풍 짜미 전망

《10월 27일 오후 8시 15분 UPDATE》 21호 태풍 콩레이의 예상 진로는 변함없이 유동적이지만, 경로가 전체적으로 서편(西偏)되었다. 특히 대만 상륙의 가능성이 부상했는데, 10월 27일 갱신된 각국 주요 모델의 예측을 보면 ECMWF / GFS / 일본 GSM 등이 태풍의 대만 상륙을 시사한다. 각국 기상 기관의 공식 예보에서도 일본보다는 대만 상륙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올해 북태평양 고기압은 북쪽 편서풍의 남하 등 여러 약화 요인에도 불구하고 동-서로 강력한 세력권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이번 태풍에도 적용될 분위기다. 태풍이 대만에 상륙한다면, 지난 10월 초 '18호 태풍 끄라톤'이 그랬듯이 급격히 세력이 약화되면서 소멸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UKM 앙상블 / CMC / N..

2024년 19호 태풍 바리자트 상황과 미국 플로리다 초강력 허리케인 밀턴

2024년 19호 태풍 바리자트(BARIJAT)가 10월 9일 오후 3시경 발생했다. 원래는 괌 동쪽에서의 발생이 유력했었으나 전신인 열대요란 99W의 발달이 늦어지면서 발생 위치가 훨씬 북쪽으로 옮겨졌다. 위치적 조건이 악화된 만큼, 주변의 강한 연직 시어와 낮아지는 해수온, 건조 공기 등에 빠르게 노출된 상황이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와 일본 기상청(JMA) 모두 '바리자트'가 곧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것으로 예보했다.   한편 대서양 허리케인 구역에서는 초강력 허리케인 밀턴(MILTON)이 한국 시간 10월 10일 오전 10시경 미국 플로리다에 상륙했다. '밀턴'이 최성기를 맞이했던 10월 8일에는 예상 외의 급성장을 이뤄내면서 그 세력이 중심기압 901hPa / 1분 최대풍속 150KT..

18호 태풍 '끄라톤' 대만 인근에서 소멸 예보 및 괌 동쪽 19호 태풍 발생 가능성

18호 태풍 끄라톤(KRATHON)은 대만 남부에 상륙하면서 이제 소멸을 앞두고 있다. 최성기를 맞이했던 10월 1일에는 그 세력이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기준 중심기압 927hPa / 1분 최대풍속 130KT(약 65m/s)에 이르렀었지만, 육지와의 마찰 및 해양 환경의 악화로 인해 급격한 쇠퇴기에 접어든 상태다. 대만 상륙 시 세력(10월 3일 오후 3시경)은 중심기압 975hPa / 1분 최대풍속 65KT(약 35m/s)로 분석되었다. 당초 기상청 등의 예보에서는 '끄라톤'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대만을 관통한 뒤 한반도 방면으로 북상할 것이라는 경로가 발표되었지만, 태풍은 10월 3일까지도 대만 일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태풍 서쪽과 동쪽에 위치한 아열대 고기압이 각각 굳건하게 유..

2024년 18호 태풍 '끄라톤' 예상 경로와 17호 태풍 제비 전망

《9월 29일 오후 6시 55분 UPDATE》 어제(9월 28일) 오전 9시경 발생한 18호 태풍 끄라톤은 순조롭게 발달 중이다. 위성 영상을 보면 '눈 구조'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끄라톤의 29일 오후 3시 세력을 중심기압 973hPa / 1분 최대풍속 80KT(약 40m/s)의 SSHWS 1등급으로 분석했다. 예보된 최성기 세력은 1분 최대풍속 115KT(약 60m/s)의 SSHWS '4등급'에 이른다. 태풍은 현재 대만을 향해 북상하고 있는데, 500hPa 일기도를 보면 동쪽의 북태평양 고기압과 중국 쪽의 아열대고기압 사이에 '약한 고압대(하늘색 원)'가 형성되었고, 이것이 태풍의 북상을 가로막는 형국이다. 몽골 상공에서 남하하는 상층 기압골(갈색 원)의 영향이 있..

2024년 17호 태풍 '제비', 18호 태풍 '끄라톤(KRATHON)' 발생 예상과 16호 태풍 시마론의 소멸

2024년 9월이 막바지로 접어드는 가운데 북서태평양 열대저기압 활동이 대단히 활발하다. 위성 영상과 지상일기도 등을 보면 현재 북서태평양에 총 4개의 열대저기압(TD)이 활동 중인 모습이다. 이들 중 일본 남해상의 TD는 제 16호 태풍 '시마론'으로부터 약화(소멸)된 것으로서, 이 태풍은 어제(9월 25일) 정오경 발생했었지만 불과 하루 만에 강등되었다. '시마론'이 빠르게 소멸하긴 했으나, 곧 2024년 제 17호 태풍 '제비'와 18호 태풍 끄라톤(KRATHON)이 연이어 발생할 전망이다. 미국령 괌 섬 북쪽의 열대저기압 95W 및 대만 동쪽의 열대저기압 97W가 유력한 태풍 후보이며,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와 일본 기상청 등의 최신 예보에 따르면 95W가 17호 태풍 '제비'로, 97W가 18호 ..

2024년 15호 태풍 '솔릭', 14호 태풍 '풀라산' 정보 및 예상 경로 분석

《9월 19일 오후 10시 10분 UPDATE》  14호 태풍 '풀라산'은 발생 초기의 예측을 크게 벗어나지 않은 채, 중국 상하이 부근 상륙을 앞두고 있다. 풀라산은 앞서 언급했던 부정적 요인들로 인해 그리 발달하지 못했고, 중국 상륙 시 세력은 중심기압 998hPa / 최대풍속 35KT(약 18m/s)의 미미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태풍이 중국에 상륙한 이후의 경로인데, 각국 모델(UKM 앙상블 / ECWMF / GFS / HFSA 등)은 '풀라산'이 내륙에서 완전히 소멸하지 않고 한반도 서해~남해안으로 전향하는 시나리오를 예측했다. 이 경우 태풍(혹은 약화된 열대저기압)이 대한민국 남부 지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만 태풍 본체의 영향보다는 한반도상 전선대(前..

2024년 제 13호 태풍 버빙카, 14호 태풍 풀라산 전망과 예상 경로

《9월 11일 오후 8시 15분 UPDATE》 하루 사이 두 열대저기압(14W, 94W)의 운명이 결정되었다. 14W는 어젯밤 13호 태풍 '버빙카'로 공식 발달했고, 14호 태풍 '풀라산' 발생 예보는 11일 오전을 기해 결국 취소되었다. 최신 위성 영상을 보면 '버빙카'는 중심권 대류역이 대칭적인 형태로 조직되고 있는 모습이다. 위치적 조건과 해수온 등, 전반적인 주변 환경이 발달에 적합하기 때문에 향후 강력한 세력으로의 성장이 기대된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는 13호 태풍 버빙카의 최성기 세력을 1분 최대풍속 115KT(약 60m/s)의 SSHWS '4등급'으로 예보했다. 11일 갱신된 각국 모델의 버빙카 예상 경로는 중국 상륙으로 굳어지는 추세다. 영국 UKM 모델만이 한반도 서해 진출을 예측했고..

2024년 12호 태풍 '리피' 발생 및 슈퍼 태풍 '야기' 중국 상륙 임박, 13호 태풍 '버빙카' 가능성도

2024년 제 12호 태풍 리피(LEEPI)가 9월 5일 오후 3시를 기해 일본 도쿄 동쪽 먼바다에서 발생했다. 이전 포스트에서 언급했던 열대요란 93W가 '리피'로 승격한 것이다. 93W 주변에 위치했던 상층 한랭저기압의 부정적인 영향(발산류 억제 및 건조역 유입)으로 인해 한동안 발달하지 못하다가, 한랭저기압 간의 거리가 벌어지면서 뒤늦게 발달에 속도가 붙었다. 그러나 태풍 '리피'는 높은 위도(북위 33도 이북)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북쪽의 강한 연직 시어와 낮은 해수온 등에 직면한 상황이다. 태풍의 크기가 작은 만큼 주변 환경의 악화에 빠르게 반응할 것이며, 내일(9월 7일) 오전 중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면서 짧은 수명의 태풍이 될 것으로 예보되었다. ※리피 : 폭포의 이름. 라오스에서 제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