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hPa 일기도를 보면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북서진하는 15호 태풍 콩레이의 전면으로 중국~대만~일본 남쪽 먼 바다에 걸쳐 동서로 길게 자리잡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확인된다. 이 기압배치가 계속 유지될 경우 태풍은 계속 북상하지 못하고 남중국해로 진출하겠지만 고기압은 점차 동쪽으로 수축할 것이다. 문제는, 고기압이 얼마나 수축하느냐에 있다.
일단 각국 예보 기관들의 예상 진로는 대체로 일치한다. 고기압이 일본 오키나와 섬 부근까지 물러나는 동안 태풍은 그 가장 자리를 따라 북상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예상 진로(경로)와 대만과의 거리가 다소 가깝기 때문에 고기압의 세력이 약간만 어긋나도 태풍은 대만 상륙->중국 내에서 소멸 과정을 밟을 수 있다.
주요 모델의 예상 진로는 비교적 일치된 각국 예보 기관들의 진로와는 사뭇 다르다.
대만 상륙&남중국해 진출(영국 EGRR, CTCX, 캐나다 CMC, WBAR)부터 일본 상륙&일본 근해 통과(GFS, GFS 앙상블, NAVGEM)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진로를 시사한다. 그리고 각국 예보 기관의 예상은 이들 모델의 평균에 가깝다.
다만 이처럼 다양한 진로가 예상되는 와중에도 한가지 공통된 점은 고기압이 북쪽으로 세력을 확장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인데, 위에 첨부된 500hPa 일기도에서도 나타나지만 고기압은 남북 방향보다는 동서 방향으로 강하다. 동쪽으로 수축한 이후에도 이것은 변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태풍은 대만으로 북서진 혹은 일본으로 북동진, 아마도 이 두 진로 중 하나를 택하게 될 듯하다. 한반도 상륙은 현 시점에서는 기대하기 어렵다.
'◆ 진로 예측'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W KONG-REY; 15호 태풍 콩레이 진로 예측 #3 (0) | 2013.08.27 |
---|---|
14W KONG-REY; 15호 태풍 콩레이 진로 예측 #2 (0) | 2013.08.27 |
01C PEWA; 13호 태풍 페바 진로 예측 #3 (0) | 2013.08.23 |
01C PEWA; 13호 태풍 페바 진로 예측 #2 (0) | 201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