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 태풍 네파탁 5

슈퍼 태풍 네파탁 북상, 대만 태풍 관통 예상 및 한반도 태풍 전망

올해 첫 슈퍼 태풍이 등장했다. 1호 태풍 네파탁이 최근 급속히 발달하면서 단숨에 "슈퍼 태풍"급으로 올라선 것. 6일 오후 3시 현재 네파탁의 세력(1분 최대풍속)은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분석으로 150KT (=75m/s)에 달한다. 이는 슈퍼 태풍 기준(130KT 이상)을 월등히 뛰어넘는 세력으로, 열대저기압 분류상 최고 등급인 SSHWS "5등급"에 해당한다. 동시각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은 무려 900hPa을 기록했다. 태풍 네파탁의 위성 영상을 보면, 매우 강하고 두꺼운 대류운이 중심권에 조밀하게 자리 잡았다. 그와 함께 작고 선명한 눈(PINHOLE EYE)이 형성된 모습이다. 각국 예보 기관은 이를 기반으로 한 위성 드보락 해석에서 평균 T값 7.5를 분석했는데, 특히 일본 기..

1호 태풍 네파탁 북상 중, 태풍 경로 예상과 전망

7월 5일 오전 9시 일기도에 그려진 1호 태풍 네파탁 태풍 네파탁은 현재 일본 오키나와 섬 남동쪽 약 1400km 부근 해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속 30km라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북상하고 있다. 그러면서 태풍은 꾸준히 강화되는 중인데, 일본 기상청은 네파탁의 세력을 중심기압 970hPa / 최대풍속 35m/s의 강도 "강" 등급으로 해석했다. 태풍의 전면으로 30도 이상의 높은 해수면 온도와 평범한 연직 시어역이 갖추어져 있어 발달 경향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이에 일본 기상청이 네파탁의 최성기 세력을 중심기압 935hPa / 최대풍속 50m/s로 예보한 가운데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또한 이 태풍이 최대풍속 115KT(60m/s)의 SSHWS "4등급"까지 발전할 것으로 내다봤다. 진..

1호 태풍 네파탁 예상 경로 및 현황, 경로 유동적 (2016-07-04)

2016년 7월 4일 오전 8시 30분경 관측된 태풍 네파탁의 위성 영상 1호 태풍 네파탁(NEPARTAK)은 어제 아침 발생이 인정된 이래로 지속적인 발달 경향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상반기 동안 북서태평양 저위도 해역의 열대저기압 활동이 매우 저조했었던 만큼 해수면 온도가 평년에 비해 다소 높은 상태인데, 이는 태풍 네파탁의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미 대한민국 및 일본 기상청,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 등 각국 예보 기관이 이 태풍의 무난한 발달을 전망한 가운데 중국 기상국은 네파탁에 대해 보다 더 후한 세력(중심기압 930hPa)을 예보했다. 전술했다시피 해양 환경이 매우 좋은 편이며, 상층에도 특별한 방해 요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적어도 태풍 강도 분류상 "매우 강"에 해당하는 위력으..

1호 태풍 네파탁 전망, 올해 첫 태풍 발생 임박 (2016-07-02)

2016년 첫 태풍, 1호 태풍 네파탁의 발생을 머지 않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 괌 섬 남쪽 먼 바다에 태풍의 씨앗이라고 할 수 있는 열대요란 99W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것이 점차 발달하면서 "1호 태풍 네파탁(NEPARTAK)"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첨부한 7월 2일 오전 9시 지상 일기도를 보다시피 일본 기상청(JMA)은 99W를 태풍의 바로 전 단계인 열대저기압(TD)으로 분석했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또한 발달 가능성 "MEDIUM"을 부여하는 등, 이미 각국 예보 기관에서는 99W의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지난 달 포스트(참조)에서 다루었듯, 그동안 북태평양 고기압(아열대 고기압)의 세력권이 북서태평양에 폭넓게 눌러 앉으면서 열대저기압 활동이 억제되고 있었..

늦어지는 1호 태풍 네파탁의 발생, 2016년 태풍 전망 및 고찰

2016년 6월 15일 정오 무렵의 북서태평양 위성 영상. 저위도 해역에 이렇다 할 대류 활동이 없다. 올해 첫번째 태풍, "1호 태풍 네파탁"의 발생이 이례적으로 늦다. 태풍 통계가 공식적으로 시작된 1951년 이래 지금 시점(6월 15일)까지 단 한개의 태풍도 발생하지 않은 연도는 올해를 포함해 4차례 밖에 없다. 2016년은 이 부문 4위에 해당한다. 게다가 현재로서는 가까운 시일 내 태풍이 발생할 낌새조차 딱히 보이지 않는 만큼 이 기록이 계속해서 경신될 가능성이 높다. 첫 태풍 발생이 가장 늦었던 연도는 1998년으로, 7월 9일이 되어서야 1호 태풍이 발생했다. 2016년 태풍의 발생이 이처럼 더딘 원인은 북서태평양의 기압계 변화에 있다. 작년 위세를 떨친 이른바 "슈퍼 엘니뇨"가 올해 봄 종..

◆ 관련 정보 2016.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