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 Typhoon 11W BESS; 1982년 제10호 태풍 베스(BESS)
- 최저 기압 : 900hPa
- 최대 풍속(JTWC 해석) : 140KT
- 최대 풍속(JMA 해석) : 125KT (65m/s)
- 활동 시기 : 7월 23일 오후 3시 발생 ~ 8월 2일 오후 3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
1. 개요
1982년의 10번째 태풍. 일본 도카이 지방(東海地方)에 상륙하면서 울릉도 등 대한민국 동해안 일부 지역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최성기 세력이 일본 기상청(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00hPa / 10분 최대풍속 125KT(65m/s)에 달했으며, 직경 1500km의 강풍역까지 갖춘 '대형의 맹렬한 태풍'으로 분류된다.
베스가 달성한 125KT라는 풍속은, 공식적으로 10분 평균 풍속 해석이 실시된 1977년 이래 역대 2위(1위 : 197920 TIP 140KT)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2010년 발생한 '슈퍼 태풍 메기'가 최대풍속 125KT로서 타이 기록을 세울 때까지 약 28년 동안이나 이 부문 단독 2위를 고수했다. 다만 이 같은 세력이 유지된 기간은 태풍 베스가 북마리아나 제도 인근 해역을 통과하고 있을 무렵인 7월 29일 하루뿐이었고, 북위 20도를 넘어선 이후부터는 빠르게 약화되기 시작하면서 일본 혼슈 도카이 지방 상륙 직전에는 중심기압 970hPa / 최대풍속 60KT의 강한 열대폭풍(STS) 등급에까지 격하되었다.
그러나 크기 만큼은 한반도 동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때까지 '대형'급을 유지했고, 일본 내 광범위한 지역에 매우 많은 비를 야기했다. 이 태풍으로 인해 일본에서만 95명의 사망·실종자가 집계되었다.
2. 주요 관측값
○ 최저해면기압
울릉도 1000.1hPa
○ 최대풍속
울릉도 14.0m/s
포항 11.0m/s
울진 11.0m/s
○ 최대순간풍속
울릉도 25.0m/s
울진 14.3m/s
부산 14.0m/s
○ 총 강수량 (8월 1~2일)
울릉도 18.6mm
대관령 8.2mm
강릉 5.7mm
3. 관련 이미지
최성기 시의 태풍 베스 (1982년 7월 29일, JMA 기준 900hPa/125KT)
일본 도카이 지방 상륙 직전의 태풍 베스 (1982년 8월 1일 오후 9시경, JMA 기준 970hPa/60KT)
지상 일기도 (1982년 8월 2일 오전 9시)
'◆ 과거 태풍 > 한반도 영향 태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반도 영향 태풍] 1982년 13호 태풍 엘리스 (0) | 2017.05.30 |
---|---|
[한반도 영향 태풍] 1982년 11호 태풍 세실 (0) | 2017.05.20 |
[한반도 영향 태풍] 1981년 18호 태풍 아그네스 (0) | 2017.04.25 |
[한반도 영향 태풍] 1981년 10호 태풍 오그덴 (0) | 2017.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