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시 정보/2024 18

2024년 11호 태풍 야기(YAGI), 12호 태풍 전망과 예상 경로

《9월 2일 오후 8시 40분 UPDATE》  11호 태풍 '야기'가 9월 1일 오후 9시경 정식 발생했고, 오늘(9월 2일) 오후 3시경에는 필리핀 루손 섬 북동부에 상륙했다. 위성 영상을 보면 루손 섬의 거친 지형의 영향으로 형태가 다소 흐트러진 모습이다. 그러나 내일 중 다시 해상으로 진입하면서 재발달할 전망이며,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는 이 태풍이 홍콩 남해상에서 1분 최대풍속 110KT(약 55m/s)의 SSHWS '3등급 태풍'이 될 것으로 예보했다. '야기'는 그렇게 최성기를 맞이한 뒤 중국 남부 어딘가에 상륙할 가능성이 높은데, 각국의 주요 모델은 하이난 섬~광둥성 서부~홍콩 일대를 잠재적인 태풍 상륙 지점으로 예측하고 있다. 경로 유동성 해소까지는 시간이 며칠 더 걸리겠지만, 일단 위 지역..

10호 태풍 '산산'의 진로 변화와 부산·경남 지역 태풍 영향 가능성↑

《8월 29일 오후 8시 50분 UPDATE》  10호 태풍 '산산'은 3일 전의 모델 예측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오늘 오전 8시경 일본 큐슈 가고시마현 사츠마센다이시(薩摩川内市) 부근에 상륙했다. 이후 계속 북상하면서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는데,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35hPa / 10분 최대풍속 50m/s에 이르렀던 세력이  8월 29일 오후 7시에는 중심기압 985hPa / 10분 최대풍속 30m/s까지 약화된 상태다. 미국 JTWC의 예보에 따르면 이번 주말 열대저기압(TD)으로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의 경우 산산이 큐슈 중북부까지 북상하면서 남부 지방 일부가 태풍 영향권이라 할 수 있는 '강풍역(노란색 원)'에 들어갔다. 해상에는 태풍 특보가, 육상에는 강풍 특보가 내려졌고 최..

2024년 10호 태풍 산산 전망과 예상 경로, 일본 방면으로 북상

《8월 22일 오후 9시 50분 UPDATE》  8월 22일 새벽, 10호 태풍 산산이 공식 발생했다. 현재는 매우 높은 해수온과 양호한 연직 시어 등에 힘입어 순조롭게 발달하고 있다. 태풍이 제법 컴팩트한 형태로 조직되면서, 주변 부정적인 요인(건조 공기의 존재와 상층 발산의 제한)의 영향을 예상보다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기관들의(JTWC, JMA 등) 예보에서도 태풍 '산산'의 최성기 세력이 계속 상향(1분 최대풍속 100KT 이상)되고 있는 추세다. 예상 경로는 변함없이 일본 상륙을 가리키고 있는데, 전체적인 경로가 서쪽으로 조정되긴 했다. 영국 UKM 앙상블 / 유럽 ECMWF / 미공군 UM 등은 '산산'에 대해 비교적 서쪽으로의 진로(동경 134도 부근)를 예측한 모델들..

2024년 9호 태풍 '종다리' 발생 가능성과 열대저기압(TD)의 한반도 북상

《8월 19일 오후 8시 40분 UPDATE》 9호 태풍 종다리가 오늘 새벽 3시경에 공식 발생했다. 밤사이 98W의 하층 순환이 명확해진 가운데 운정 온도 -80도 이하의 강력한 대류역이 일시적으로 형성되었고, 태풍의 명명권(命名權)을 가진 일본 기상청의 분석에서 정식 태풍으로 인정된 것이다. 다만 위력은 열대폭풍(TS) 기준을 간신히 충족한 수준으로서, '태풍 강도 분류(SSHWS)'에서 가장 낮은 등급이다. 실질적으로는 명목상의 태풍이나 다름없다. 최신 위성 영상을 보면 동중국해 건조 공기의 영향과 상층 발산의 제한으로 인해 어설픈 형태를 띈 '태풍 종다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열대저기압 특유의 수직 구조가 붕괴되면서 하층 순환이 분리되었기 때문에 태풍의 중심은 가시 영상에서만 제대로 관측이..

일본으로 북상하는 7호 태풍 '암필' 예상 경로 및 2024년 8호 태풍 '우쿵' 분석

《8월 16일 오후 8시 25분 UPDATE》  진로가 유동적이었던 7호 태풍 암필은 각국(미국 JTWC, 일본 JMA 등)이 공식 예보했던 바와 같이 일본 도쿄 및 수도권 일대를 비껴나가고 있다. 8월 16일 오전 9시 기준 '암필'의 세력은 중심기압 947hPa / 1분 최대풍속 115KT(약 60m/s)의 SSHWS '4등급'에 이르렀으나, 상륙 없이 해상을 통과하면서 내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할 전망이다. 암필이 일본 동쪽 먼바다에서 소멸(온대저기압 변질)할 예정인 가운데, 남쪽에는 태풍의 씨앗(열대요란 97W, 98W)이 새로이 발생했다. 이들 중 하나가 9호 태풍 '종다리'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겠다. 98W의 경우 대한민국 방면으로의 북상 시나리오가 수치..

2024년 제 6호 태풍 '손띤'과 7호 태풍 암필, 일본으로 연이은 태풍 북상?

2024년 8월 11일 오후 6시를 기해, 제 6호 태풍 손띤(SON-TINH)이 공식 발생했다. 위성 영상을 보면 북위 20도 부근에서 대류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모습인데, 북태평양 고기압(아열대 고기압)의 세력권이 일시적으로 약화되면서 거대한 몬순 소용돌이(MONSOON GYRE)가 형성되었고 이것이 대류를 촉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중 가장 동쪽의 대류역이 독립된 저기압으로 발전하면서 '6호 태풍'으로 인정되기에 이르렀다. ※손띤 :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 '신화속의 산신'을 의미한다.   이번 태풍의 발생 위도는 '북위 28.4도'로서 다소 높은 편이다. 또한 상공에는 한기가 위치하고 있어, 저위도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태풍과는 달리 이질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이를 근거로, 미국 합동태풍경보센..

2024년 5호 태풍 '마리아' 예상 경로와 8월 태풍 전망

2024년 제 5호 태풍 마리아(MARIA)가 오늘 새벽 공식 발생했다. 태풍 '개미'가 7월 말 중국 내륙에서 소멸한 이후 약 12일 만에 발생한 태풍이다. 위성 영상을 보다시피 이 태풍의 현재 위치는 도쿄에서 남남동쪽으로 약 1000km 떨어진 해상으로서, 저위도 열대지방에서 발생하는 태풍에 비하면 위치적 조건이 좋지 않다. 그러나 최근 이어진 '역대급 폭염'으로 인해 주변 해수면 온도(약 30도)가 매우 높고, 활발한 발산 환경과 약한 연직 시어 등이 갖추어져 있어 초기 발달에는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와 일본 기상청(JMA) 등은 태풍 마리아가 중심기압 975hPa 이하 / SSHWS '1등급' 이상의 강도를 달성할 것으로 예보했다. *마리아 :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

2024년 제 3호 태풍 '개미', 4호 태풍 '프라피룬' 예상 경로와 전망

《7월 22일 오후 10시 40분 UPDATE》  3호 태풍 개미의 경로는 대만 북쪽 통과~중국 남동부 상륙으로 굳어지고 있다. 7월 22일 갱신된 각국 수치 모델의 경로도를 보면 태풍 진로가 이틀 전 예측에 비해 다소 서쪽으로 편향된 모습으로서, ECMWF / GFS / 일본 GSM 등을 포함한 모든 모델이 중국 상륙을 가리킨다. 북태평양 고기압의 빠른 세력 확장과 함께 태풍이 서쪽으로 밀려나는 형세인 것이다. 참고로 태풍 '개미' 발생 초기부터 대만 북부 통과를 시사했던 영국 모델(UKMO)은 진로 예측에 있어 가장 우수했다고 평가된다.  최신 위성 영상을 보면 태풍 '개미'의 중심권에 강력한 대류역이 형성되기 시작(T4.0)하면서 급발달 조짐이 관측되었다. 지금까지는 해수온과 연직 시어 등이 태풍의..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