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PQ20 RJTD 050300 RSMC TROPICAL CYCLONE ADVISORY NAME TY 1403 FAXAI (1403) ANALYSIS PSTN 050300UTC 20.2N 153.2E GOOD MOVE NE 12KT PRES 975HPA MXWD 065KT GUST 095KT 50KT 40NM 30KT 210NM NORTH 150NM SOUTH FORECAST 24HF 060300UTC 23.9N 157.8E 85NM 70% MOVE ENE 16KT PRES 985HPA MXWD 050KT GUST 070KT 45HF 070000UTC 24.7N 163.8E 180NM 70% EXTRATROPICAL LOW =
발생 초기 괌 섬 남동쪽 해상에서 오랜 시간 정체하던 3호 태풍 파사이는 현재 괌 섬 북동쪽 먼 바다를 빠르게 북동진 중이다. 그사이 꾸준히 세력을 키운 태풍은 3월 5일 오전 3시에 최성기를 맞이하여, 일본 기상청(JMA) 해석 975hPa/65KT(35m/s)의 강도 "강",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해석 75KT의 "1등급 태풍"까지 발달했다. 최성기 강도는 역대 태풍 평균(JMA 기준 약 69KT)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지만 "2월 발생 태풍"이라는 시기적 한계를 딛고 TY 등급에 이른 것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 각국 예보 기관의 예보에 따르면 태풍은 지금부터 급격히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면서 48시간 이내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전망.
500hPa 일기도를 보면 3호 태풍 파사이는 중위도 편서풍대에 근접한 곳에 위치해 있다. 편서풍대와 적당히 거리가 떨어져 있었던 5일 새벽까지는 해당 영역과 연계된 상층 발산역이 태풍을 TY 등급까지 발달시키는 데에 다소 도움을 주기도 했지만 이후 태풍이 더 북상함에 따라 편서풍대 주변부의 강한 연직 시어와 건조한 공기에 바로 직면하게 되면서 상황은 뒤바뀌었고, 주변 환경은 이미 열대저기압의 세력 유지에 심히 적합하지 않은 상태이다. 태풍은 앞으로 빠르게 온대저기압으로의 변질 과정을 밟을 것이다.
JTWC 05/0201Z : T3.5/4.5
JMA 05/0000Z : T4.0/4.5
NOAA SAB 05/0301Z : T3.5/4.5
위성 영상에서는 태풍이 최근 수시간 동안 현저한 약화 경향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첨부 이미지에 표기된 풍속은 75KT로 동일하지만 언뜻 봐도 갓 최성기를 맞이한 오전 3시 30분경의 모습(위)과 현재의 모습(아래)은 판이하게 다르다. 대류운은 약화 중이며 전체적인 형태 또한 흐트러지기 시작했다. 전술한 요소들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결과로, 아직 예보 기관의 공식 통보문에만 반영되지 않았을 뿐 이미 기관별 위성 해석 T값은 최성기의 4.5에서 3.5 근처까지 떨어졌다. 곧 있을 오후 3시 갱신에서는 예보 기관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 감시 정보 > 20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서태평양 현황 & 4호 태풍 전망 (2014-03-14) (3) | 2014.03.14 |
---|---|
북서태평양 현황 & 4호 태풍 전망 (2014-03-11) (1) | 2014.03.11 |
3호 태풍 파사이(03W) #2 - "2월에 발생한 3호 태풍" (0) | 2014.03.01 |
93W.INVEST #1 - "3호 태풍 파사이" 발생 예보 (0) | 201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