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시 정보/2013 115

TD 12W TWELVE #1 - 예비 12호 태풍 짜미?

열대요란 98W가 17일 오전 9시, JTWC 해석 12번째 열대저기압(12W)로 발달했다. 최대풍속은 JTWC 해석으로 25KT, JMA(일본 기상청) 해석으로 30KT. JTWC 진로도를 보면 잠시 동진한뒤 U턴해 중국&대만을 향해 서~서북서진하는 예상인데, 700hPa 일기도를 보면 현재 고기압이 중국~한반도~일본에 걸쳐 동서로 폭넓게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로 북상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다만 북동쪽의 TD(13W)와의 상호 작용 여하에 따라서는 약간의 진로 변화가 가능하다. 위성영상을 보면 북쪽의 대류가 부실한 가운데 대류운은 남쪽으로 집중되고 있는 모습. 동중국해에 위치한 건조역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인지 이것에 대해 JMA가 16일 오전부터 일찌감치 24시간 내 태풍 발..

TD 13W THIRTEEN #1 - 태풍 짜미 혹은 태풍 콩레이

열대요란 99W가 밤사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JTWC 해석 13번째 열대저기압(13W)로 인정되었다. 일본 기상청(JMA)로부터도 "24시간 내 태풍 발생" 예보가 나온 상황이다. 오전 9시 세력은 JTWC 해석으로 25KT, JMA 해석으로 1000hPa / 30KT(15m/s). 현재 2개 이상의 태풍 발생 가능 열대저기압(TD)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느 쪽이 먼저 태풍이 될 지는 불분명하다. 따라서 이 13W는 "12호 태풍 짜미"가 될 수도, "13호 태풍 콩레이"가 될 수도 있는 셈. 중태평양 열대폭풍(01C PEWA)의 동향에 따라서는 번호도 바뀔 수 있다. JTWC의 진로를 보면 대만 근해 TD(12W)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남쪽으로 방향을 트는 등, 다소 어수선하다. 북위 30도 이북으로는 ..

TS 01C PEWA #2 - 12호 태풍? 13호 태풍?

INIT 16/1500Z 10.2N 173.5W 35 KT 40 MPH 12H 17/0000Z 10.8N 175.1W 40 KT 45 MPH 24H 17/1200Z 11.4N 177.2W 45 KT 50 MPH 36H 18/0000Z 12.2N 179.6W 50 KT 60 MPH 48H 18/1200Z 13.0N 177.8E 50 KT 60 MPH 72H 19/1200Z 15.0N 172.5E 45 KT 50 MPH 96H 20/1200Z 17.0N 167.0E 40 KT 45 MPH 120H 21/1200Z 19.0N 162.0E 35 KT 40 MPH 열대요란 91C가 빠르게 발달하면서 16일 오후 9시에 중태평양 1호 열대폭풍(01C) "PEWA"가 되었다. 예보 전문을 보면 36시간 뒤인 18일 ..

북서태평양 현황 & 12호 태풍 전망 (2013-08-16)

중국 내륙에는 11호 태풍 우토르로부터 약화된 열대저기압(TD)이 북진 중이며, 북서태평양 상에는 새로 발생한 2개의 TD(열대요란 98W, 99W)가 발달하고 있다. 특히 대만 근해의 열대요란 98W(22.8N 123.8E 부근)에 대해서는 "24시간 내 태풍 발생"이 예보되었다. 동중국해~일본 오가사와라 제도에 걸쳐 한달 남짓 눌러앉아 있던 북태평양 고기압이 북쪽으로 물러나면서 그 자리를 두 개의 TD가 대신하고 있는 형국. 해당 해역은 오랫동안 태풍 등으로 인한 해수온도 저하가 없었기 때문에 해수면 온도가 30도 이상으로 매우 높다. 이것만 놓고 보면 발달에 더할 나위 없는 수준이지만 북쪽으로 20KT 이상의 연직시어가 위치하고 있어 전체적인 조건은 발달에 그렇게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이를 고려해 ..

91C.INVEST #1 - 12호 태풍 후보?

열대요란 90C(12.5N 162.1W)에 이어 그 남서쪽으로는 열대요란 91C(9.2N 171.2W)가 발달하고 있다. 91C 대해서는 16일 오전 8시부터 TCFA(=24시간 내 열대저기압 발달 예상)가 내려진 상태이다. 관련 포스트 : 90C.INVEST #1 - 중태평양 열대요란, 북서태평양 진출? 적외/가시 영상을 보면 대류는 북동쪽에 위치한 90C보다 약하지만, 대류운이 비교적 골고루 분포하고 있어 전체적인 형태는 더 좋은 편이다. 게다가 주변 해수온이 28도 안팎으로 높고, 90C보다 남쪽에 위치한 만큼 건조역의 영향에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여러모로 90C에 비해서 발달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된다. CPHC 15/2330Z : T1.5/1.5 NOAA SAB 16/0000Z :..

90C.INVEST #1 - 중태평양 열대요란, 북서태평양 진출?

중태평양에서 열대요란 90C가 발달 중이다. 15일 오후 11시 30분부터는 이것에 대해 TCFA(=24시간 내 열대저기압 발달 예상)가 내려진 상태. 위성 영상에서 보여지는 형태는 잘 조직되었다고 말하기 어렵다. 전면에 위치한 건조역의 영향으로 대류운은 주로 태풍의 동쪽 반원에 형성되고 있다. 다만 중심 부근에는 강한 대류가 눈에 띄며 남쪽으로 발산류가 활발한 것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현재 요란이 위치한 해역(오전 9시 현재 : 12.5N 162.1W)의 해수면 온도는 27도 안팎으로, 발달에 썩 좋은 온도는 아니다. 또한 연직 시어는 20~30KT로 다소 높게 분석되고 있다. (높은 연직 시어는 열대저기압에 치명적) 열대저기압까지는 가능할지 몰라도 열대폭풍(최대풍속 35KT 이상)이 되기에는 미묘한 ..

북서태평양 현황 & 12호 태풍 전망 (2013-08-15)

오랫동안 동중국해에서 굳건하게 버티던 고기압은 점차 북쪽으로 물러나고 있다. 13일 500hPa 일기도(위)와 15일 500hPa 일기도(아래)를 비교하면 차이는 확연하다. 이전까지는 이 고기압의 영향 때문에 태풍이 발생하더라도 북상하지 못한 채 남중국해로 갈 수밖에 없었지만, 지금은 동중국해로 통하는 "길"이 열린 셈이다. 다음 주 중으로 동중국해로 북상하는 태풍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다만 고기압이 동중국해에서 물러났을 뿐 한반도에서 물러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한동안은 태풍이 발생하더라도 한반도로 북상할 가능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당연히, 무더위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주요 모델은 대만 동쪽 해상에서 열대저기압의 발생을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 부근에 위치한 고기압에 가로막혀 고위도로는..

TY 11W UTOR; 11호 태풍 우토르 #7 - 중국 광둥 성 상륙 임박

태풍 우토르는 중국 광둥 성 상륙을 눈앞에 둔 상태다. 세력은 어제와 크게 다르지 않게, 오전 9시 현재 JTWC는 85KT, 일본 기상청(JMA)은 955hPa/80KT(40m/s)로 해석하고 있다. 위성 영상을 보면 불분명하긴 하지만 눈도 아직 존재하는 모습. 그러나 태풍이 육지에 근접하면서 지상과의 마찰로 인해 태풍 북쪽의 대류는 다소 부실해졌다. 태풍은 이제부터 빠르게 쇠퇴할 것이다. JTWC 14/0232Z : T4.0/5.0 JMA 14/0000Z : T4.5/5.0 NOAA SAB 14/0232Z : T4.5/4.5 위성 해석에서는 태풍의 쇠퇴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CI값(뒤의 숫자)은 아직 4.5~5.0을 유지하고 있지만 T값(앞의 숫자)은 4.0~4.5를 가리키고 있어 태풍이 약화 경향에..

TY 11W UTOR; 11호 태풍 우토르 #6 - 남중국해에서 재발달 중

태풍은 남중국해 진출 후 재발달기에 접어들었다. 13일 오전 9시 현재 JTWC는 100KT, 일본 기상청(JMA)는 955hPa/80KT(40m/s)로 해석 중이다. 위성 영상을 보면 육지에서 멀어지면서 불규칙했던 형태가 재조직 되고 있고, 대륙 내 건조역의 영향을 받아 부실하던 북쪽의 대류도 지금은 활발한 모습이다. 중심 부근에는 눈도 다시 형성되었다. 그러나 필리핀 루손 섬 상륙 전만큼 구름의 밀도는 높지 않으며 드문드문 공백역도 눈에 띈다. 이를테면 겉은 이전 수준으로 화려하지만 내실은 그렇지 않은 셈. 게다가 남중국해는 필리핀 동쪽 해상에 비해 해면수온 및 열용량이 낮으므로 현 세력에서 5KT 정도 더 발달하는 정도에 그칠 가능성이 커 보인다. JTWC 13/0232Z : T5.5/5.5 JMA..

TY 11W UTOR; 11호 태풍 우토르 #5

태풍은 12일 오전 3시경 필리핀 루손 섬에 상륙한 뒤 크게 약화되었다.오전 9시 현재 태풍의 세력은 JTWC 해석으로 95KT, 일본 기상청(JMA) 해석으로 955hPa/75KT(40m/s). 위성 영상을 보면 전체적인 형태가 흐트러져 있는 모습. 태풍이 육지에 상륙하면 태풍의 회전이 지상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기존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그중에서도 특히 산지는 치명적인데, 루손 섬 북부는 산지가 많기 때문에 아무리 강한 태풍이라도 이곳을 통과하게되면 타격을 피할 수 없다. 이는 곧 급격한 세력 약화로 이어진다. 또한 여기에 그치지 않고 중국 대륙으로부터의 건조 공기가 가세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 영향으로 태풍 북쪽의 대류는 미약하며, 강한 대류운은 주로 남쪽에 집중되고 있다. JTWC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