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진로 84

19W PABUK; 20호 태풍 파북 진로·경로 예측 #2

20호 태풍 파북의 진행 방향 전면에 위치한 북태평양 고기압은 현저한 약화 경향에 접어들었다. 일본 기상청(JMA) 분석 500hPa 일기도를 보면 중국 동해안으로부터 동경 150도에 이르는 넓은 범위가 고기압의 세력권이지만, 이 동서 고압대의 동쪽 면은 두께가 얇아져 얼마 못가 소멸할 것 같은 형세이다. 각국 예보 기관은 공통적으로 태풍이 계속 북서진하지 않고 +72시간 후 전향할 것으로 예보했다. 어제와 별반 다를게 없는 예상으로, 북쪽 고기압의 약화는 태풍을 서쪽으로 이끄는 지향류의 약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삼았다고 판단된다. 홀로 서쪽에 떨어져 있던 대한민국 기상청(KMA)의 진로가 동쪽에 치우치면서 각 기관의 예상 진로는 한층 더 모아졌다, 주요 모델의 예측은 거의 일치된 각국 예보 ..

◆ 진로 예측 2013.09.22

19W PABUK; 20호 태풍 파북 진로·경로 예측 #1

20호 태풍 파북의 진행 방향 전면에는 일본 남해상에 주력을 둔 북태평양 고기압이 위치한다. 이 고기압의 세력이 이대로 굳건하게 유지된다면 태풍은 대만 쪽으로 나아가겠지만 가을이라는 계절 특성상 지금의 세력을 오래 유지하기는 어려우므로 가까운 시일 내에 쇠퇴가 확실시된다. 문제는 그것이 어느 정도냐인데, 쇠퇴가 급격한 경우에는 태풍의 진로를 빠르게 동쪽으로, 완만한 경우에는 진로를 그만큼 서쪽으로 이끌 가능성이 농후하다. 각국 예보 기관의 예상 진로도를 보면 고기압의 급격한 약화와 함께 태풍이 동경 135도를 넘지 못하고 전향해 일본 동쪽 먼바다로 나아간다는 데에 예상이 거의 일치하고 있다. 대한민국 기상청(KMA)의 진로가 평균에서 서쪽으로 조금 떨어져 있으나 크게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다. 반면 주요..

◆ 진로 예측 2013.09.22

17W USAGI; 19호 태풍 우사기 진로·경로 예측 #5

19호 태풍 우사기는 루손 해협의 거의 중앙을 가로질러 홍콩을 향해 순항 중이다. 오후 9시 현재 세력은 일본 기상청(JMA) 해석 930hPa/45m/s, 중국 기상국(NMC) 해석 935hPa/50m/s. 루손 섬과 타이완 섬에는 산지가 많기 때문에 과거 이 해협을 통과한 태풍은 두 섬 중 어느 한쪽과 마찰을 일으켜 세력이 크게 꺾이는 일이 많았지만, 이 태풍은 홍콩 인근에 상륙하는 경로에 있어서 이보다 최악의 경로는 드물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절묘하게 루손 섬과 타이완 섬을 피했다. 비록 해양 열용량의 저하와 대륙으로부터의 건조 공기 유입으로 인해 어느 정도 약화 경향에 있긴 하나 근래 홍콩에 접근하는 태풍 중에서 최강급에 속하는 것은 틀림없다. 각국 예보 기관은 19호 태풍 우사기가 22일 밤~..

◆ 진로 예측 2013.09.21

17W USAGI; 19호 태풍 우사기 진로·경로 예측 #4

19호 태풍 우사기는 오랜 정체에서 벗어나 점차 진행 속도를 올리면서 18시 현재 약 15km/h의 속도로 북서진하고 있다. 500hPa 일기도에서 확인되는 중국~한반도~일본에 걸쳐 동서로 폭넓게 자리잡은 북태평양 고기압과의 거리가 좁혀짐에 따라 태풍을 이끄는 지향류가 강화, 진행 속도를 가속시킨 것이다. 각국 예보 기관의 예상 진로에도 이 점이 어느 정도 반영되면서 태풍은 72시간 후인 22일 오후 3시 무렵이면 홍콩 근해까지 진출할 것으로 예보된 상황이다. 각 기관의 예상 진로가 한데 모아져 있어 진로에 대한 신뢰성은 대단히 높다. 특히 이만한 강도(예상 최성기 풍속 JTWC:140KT, JMA:105KT)의 태풍이 홍콩을 직격하는 사례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 진로 예측 2013.09.19

17W USAGI; 19호 태풍 우사기 진로·경로 예측 #3

19호 태풍 우사기에 대한 각국 예보 기관의 예상 진로는 변함없이 남중국해를 지향하고 있다. 중국 동부~한반도~일본에 걸쳐 동서로 폭넓게 자리잡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가운데 태풍은 북위 25도를 넘지 못한 채 계속 서진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태풍의 진행 속도는 매우 느리지만, 예보에 따르면 내일부터는 점차 속도를 올릴 것으로 보인다. 주요 모델의 예측은 매 갱신 때마다 오락가락하는 모습. 발생 초기 루손 해협 통과가 주를 이뤘다가 17일 오후에는 상당수 모델의 진로가 북쪽으로 치우쳐 대만 상륙을 가리키더니, 오늘에 이르러서는 다시 루손 해협을 통과하는 진로가 우세하게 된 상황이다. 각국 예보 기관 중 유일하게 대만 남부 관통을 예상했던 JTWC의 진로는 이에 맞춰 남쪽으로 조정되었다. 유..

◆ 진로 예측 2013.09.18

17W USAGI; 19호 태풍 우사기 진로·경로 예측 #2

중국 동부~한반도~일본 동쪽 앞바다에 걸쳐 북태평양 고기압이 동서로 폭넓게 자리잡은 가운데, 19호 태풍 우사기는 그로부터 남쪽으로 다소 떨어진 해역에서 이렇다 할 주변 지향류 없이 매우 느린 속도로 서진하고 있다. 고기압의 세력이 보다 더 확장되기 전까지는 이런 형국이 지속될 것 같다. 태풍에 대한 각국 예보 기관의 예상 진로 평균은 이전에 비해 미묘하게 북쪽으로 조정된 모습. 남중국해 지향은 아직 변함없지만, JTWC가 태풍의 대만 남부 관통을 예상하는 등 전체적으로 진로가 대만 내륙에 매우 가까워졌기 때문에 태풍 상륙 여부에 따라 호우 및 강풍의 영향 정도가 크게 바뀔 수 있는 대만에게는 좋지 않은 결과가 되었다. 주요 모델의 예상 진로는 17일 오전(16/18Z)과 비교하면 조금이나마 모아졌다. ..

◆ 진로 예측 2013.09.18

17W USAGI; 19호 태풍 우사기 진로·경로 예측 #1

500hPa 일기도를 보면 19호 태풍 우사기의 북쪽으로 북태평양 고기압이 존재한다. 이것은 중국 내에서 남하한 기압골에 밀려 일본 동쪽 먼 바다까지 물러났다가 다시 세력을 서쪽으로 확장하고 있는데, 대륙 고기압으로부터 변질된 이동성 고기압을 병합하면서 서쪽 경계가 중국 동부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그럼에도 북위 17.5도 부근에 위치한 19호 태풍 우사기와의 거리는 여전히 다소 먼 편이다. 보통 태풍은 고기압의 가장 자리를 따라 진행하지만 아직 이 태풍의 주변에는 태풍을 이끌 이렇다 할 지향류가 없다. 이에 따라 태풍은 현재 자체적인 진행(베타 효과)에 의존해 서진하고 있지만, 필리핀 남부에 자리잡은 약한 고기압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인해 서진 성분이 어느 정도 상쇄되면서 속도는 매우 느리다. 각국 예보..

◆ 진로 예측 2013.09.17

16W MAN-YI; 18호 태풍 마니 진로·경로 예측 #2

중국 내에서 상층 기압골이 남하함에 따라 북태평양 고기압은 동쪽으로 다소 후퇴했다. 700hPa 일기도를 보면 어제까지 중국 동해안에 위치하던 고기압의 서쪽 경계가 동경 135도 밖으로 밀려난 모습이다. 이에 따라 고기압의 남서쪽에 위치한 18호 태풍 마니는 지금까지 계속 서북서진했지만 점차 북서로, 또 진북으로 진행 방향이 바뀌면서 15일부터는 완전히 전향, 북동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각국 예보 기관의 예상 진로 평균은 주요 모델의 평균에 맞추어 이전보다 서쪽으로 조정되었다. 당초 예상보다는 고기압의 약화가 덜할 것이라고 판단한 듯하다. 태풍이 일본에 상륙하지 않을 가능성은 그만큼 낮아진 셈. 현재 예보대로라면 태풍은 일본 시즈오카 현 일대 상륙이 농후하다. 주요 모델의 예측은 안정된 국면에 접어들..

◆ 진로 예측 2013.09.14

16W MAN-YI; 18호 태풍 마니 진로·경로 예측 #1

18호 태풍 마니는 일본 상에 위치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남쪽에서 북서진하고 있다. 700hPa 일기도를 보면 현재 고기압의 세력은 서쪽으로 중국 동해안까지 이르나 한반도에 호우를 야기한 기압골이 계속 남동진함에 따라 고기압은 동쪽으로 수축하기 시작할 것이며, 태풍은 수축하는 고기압의 서쪽 경계를 따라 북상하면서 점차 북동으로 전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각국 예보 기관의 예상 진로는 태풍이 15일까지 북서진한 뒤 점차 북동쪽으로 전향하는 데까지는 대체로 일치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일본 상륙 여부를 놓고 견해가 갈리는 상황이다. JTWC, 중국 기상국(NMC), 대한민국 기상청(KMA)는 보소 반도 상륙을, 일본 기상청(JMA), 대만 기상국(CWB)는 일본에 상륙하지 않은 채 보소 반도 앞바다를 통..

◆ 진로 예측 2013.09.13

15W TORAJI; 17호 태풍 도라지 진로·경로 예측 #3

17호 태풍 도라지의 대한 해협 진출을 전망하던 일본 기상청(JMA), 중국 기상국(NMC), 대한민국 기상청(KMA) 등의 예상 진로가 일본 큐슈 상륙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는 각국의 모든 예보 기관의 진로가 큐슈 상륙을 가리키고 있다. 500hPa 일기도에 나타나는 중국-한반도 상의 상층 기압골이 예상보다 강하게 유지되면서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을 저지, 더 나아가 동쪽으로 물러나게 한 것이 이러한 진로 변화의 원인으로 보인다. 태풍은 전면에 위치했던 기압능이 사라짐에 따라,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북동진하고 있다. 그럭저럭 일치된 각국 예보 기관의 예상과는 달리 주요 모델의 예측은 산만한 편. 영국 EGRR, JGSM, JMA 태풍 앙상블(TEPS), 미해군 GFDN/NAVGEM 모델이 북태..

◆ 진로 예측 2013.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