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시 정보 590

90C.INVEST #1 - 중태평양 열대요란, 북서태평양 진출?

중태평양에서 열대요란 90C가 발달 중이다. 15일 오후 11시 30분부터는 이것에 대해 TCFA(=24시간 내 열대저기압 발달 예상)가 내려진 상태. 위성 영상에서 보여지는 형태는 잘 조직되었다고 말하기 어렵다. 전면에 위치한 건조역의 영향으로 대류운은 주로 태풍의 동쪽 반원에 형성되고 있다. 다만 중심 부근에는 강한 대류가 눈에 띄며 남쪽으로 발산류가 활발한 것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현재 요란이 위치한 해역(오전 9시 현재 : 12.5N 162.1W)의 해수면 온도는 27도 안팎으로, 발달에 썩 좋은 온도는 아니다. 또한 연직 시어는 20~30KT로 다소 높게 분석되고 있다. (높은 연직 시어는 열대저기압에 치명적) 열대저기압까지는 가능할지 몰라도 열대폭풍(최대풍속 35KT 이상)이 되기에는 미묘한 ..

북서태평양 현황 & 12호 태풍 전망 (2013-08-15)

오랫동안 동중국해에서 굳건하게 버티던 고기압은 점차 북쪽으로 물러나고 있다. 13일 500hPa 일기도(위)와 15일 500hPa 일기도(아래)를 비교하면 차이는 확연하다. 이전까지는 이 고기압의 영향 때문에 태풍이 발생하더라도 북상하지 못한 채 남중국해로 갈 수밖에 없었지만, 지금은 동중국해로 통하는 "길"이 열린 셈이다. 다음 주 중으로 동중국해로 북상하는 태풍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다만 고기압이 동중국해에서 물러났을 뿐 한반도에서 물러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한동안은 태풍이 발생하더라도 한반도로 북상할 가능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당연히, 무더위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주요 모델은 대만 동쪽 해상에서 열대저기압의 발생을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 부근에 위치한 고기압에 가로막혀 고위도로는..

TY 11W UTOR; 11호 태풍 우토르 #7 - 중국 광둥 성 상륙 임박

태풍 우토르는 중국 광둥 성 상륙을 눈앞에 둔 상태다. 세력은 어제와 크게 다르지 않게, 오전 9시 현재 JTWC는 85KT, 일본 기상청(JMA)은 955hPa/80KT(40m/s)로 해석하고 있다. 위성 영상을 보면 불분명하긴 하지만 눈도 아직 존재하는 모습. 그러나 태풍이 육지에 근접하면서 지상과의 마찰로 인해 태풍 북쪽의 대류는 다소 부실해졌다. 태풍은 이제부터 빠르게 쇠퇴할 것이다. JTWC 14/0232Z : T4.0/5.0 JMA 14/0000Z : T4.5/5.0 NOAA SAB 14/0232Z : T4.5/4.5 위성 해석에서는 태풍의 쇠퇴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CI값(뒤의 숫자)은 아직 4.5~5.0을 유지하고 있지만 T값(앞의 숫자)은 4.0~4.5를 가리키고 있어 태풍이 약화 경향에..

TY 11W UTOR; 11호 태풍 우토르 #6 - 남중국해에서 재발달 중

태풍은 남중국해 진출 후 재발달기에 접어들었다. 13일 오전 9시 현재 JTWC는 100KT, 일본 기상청(JMA)는 955hPa/80KT(40m/s)로 해석 중이다. 위성 영상을 보면 육지에서 멀어지면서 불규칙했던 형태가 재조직 되고 있고, 대륙 내 건조역의 영향을 받아 부실하던 북쪽의 대류도 지금은 활발한 모습이다. 중심 부근에는 눈도 다시 형성되었다. 그러나 필리핀 루손 섬 상륙 전만큼 구름의 밀도는 높지 않으며 드문드문 공백역도 눈에 띈다. 이를테면 겉은 이전 수준으로 화려하지만 내실은 그렇지 않은 셈. 게다가 남중국해는 필리핀 동쪽 해상에 비해 해면수온 및 열용량이 낮으므로 현 세력에서 5KT 정도 더 발달하는 정도에 그칠 가능성이 커 보인다. JTWC 13/0232Z : T5.5/5.5 JMA..

TY 11W UTOR; 11호 태풍 우토르 #5

태풍은 12일 오전 3시경 필리핀 루손 섬에 상륙한 뒤 크게 약화되었다.오전 9시 현재 태풍의 세력은 JTWC 해석으로 95KT, 일본 기상청(JMA) 해석으로 955hPa/75KT(40m/s). 위성 영상을 보면 전체적인 형태가 흐트러져 있는 모습. 태풍이 육지에 상륙하면 태풍의 회전이 지상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기존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그중에서도 특히 산지는 치명적인데, 루손 섬 북부는 산지가 많기 때문에 아무리 강한 태풍이라도 이곳을 통과하게되면 타격을 피할 수 없다. 이는 곧 급격한 세력 약화로 이어진다. 또한 여기에 그치지 않고 중국 대륙으로부터의 건조 공기가 가세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 영향으로 태풍 북쪽의 대류는 미약하며, 강한 대류운은 주로 남쪽에 집중되고 있다. JTWC 12/..

TY 11W UTOR; 11호 태풍 우토르 #4 - "4등급 태풍"

태풍은 계속해서 발달 경향. 특히 최근 수시간 동안은 급격히 발달했다. 오후 3시 현재 일본 기상청(JMA)는 태풍의 세력을 940hPa/90KT(45m/s)로, JTWC는 1분 평균 최대풍속 115KT의 "4등급 태풍"으로 해석하고 있다. 위성 영상을 보면 선명한 눈과 중심 부근을 감싼 강한 대류운(노란색 구름)이 보인다. 전형적인 강태풍의 모습이다. 필리핀 루손 섬 상륙이 얼마 남지 않았으므로 오늘 밤이 세력의 피크가 될 것인데, 지금과 같은 발달 속도라면 올해 첫 슈퍼 태풍(1분 평균 최대풍속 130KT 이상)를 노려볼 만 하다. 현재 태풍이 통과 중인 해역은 과거 수많은 슈퍼 태풍을 양산한 곳이기 때문에 가능성은 충분하다. JTWC 11/0532Z : T6.0/6.0 JMA 11/0600Z : T..

TD 11W ELEVEN #2 - 예비 11호 태풍 우토르

WTPQ20 RJTD 090000 RSMC TROPICAL CYCLONE ADVISORY NAME TD ANALYSIS PSTN 090000UTC 13.3N 135.0E POOR MOVE W 07KT PRES 1006HPA MXWD 030KT GUST 045KT FORECAST 24HF 100000UTC 14.1N 133.1E 120NM 70% MOVE WNW SLOWLY PRES 1002HPA MXWD 035KT GUST 050KT = 열대요란 96W가 밤사이 발달해 JTWC로부터 열대저기압 11W로 인정되었고, 일본 기상청(JMA)에서도 이것이 24시간 내에 태풍이 될 것이라는 예보를 내기 시작했다. 위성 영상을 보면 매우 컴팩트하게 조직되고 있는 모습. 최근 수시간 동안의 발달은 조금 주춤한 상태이..

96W.INVEST #1 - 11호 태풍 "우토르" 후보

열대요란 96W가 필리핀 동쪽에서 발달 중이다. 오전까지만 해도 그 형태조차 불분명한 수준이었지만 오후들어 빠르게 조직화되고 있다. 위성 영상을 보면 지난 10호 태풍 망쿳의 전신이었던 열대요란 94W에 비해 다소 컴팩트하게 결정되고 있는 모습. 이런 류의 열대요란은 발달 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염두에 둘 만하다. JTWC에서는 이것의 발달 가능성을 "MEDIUM"으로 보고 있으며, 주변 해수면 온도(30도 이상)나 상층 대기의 상황(약한 연직 시어, 원활한 상층 발산) 등이 열대저기압의 발달에 매우 좋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유력한 11호 태풍 후보라고 할 수 있겠다. JTWC 08/1132Z : T1.5/1.5 NOAA SSD 08/0832Z : T1.0/1.0 JTWC와 NOAA S..

북서태평양 현황 (2013-08-08)

동중국해의 고기압은 변함없이 건재하고, 그 세력은 벌써 한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열대저기압의 활동 범위도 오랫동안 남중국해~태평양 저위도로 제한된 형국이다. 9호 제비, 10호 망쿳이 그랬듯, 열대저기압의 활동은 당분간 이 범위를 벗어나기 어려울 것 같다. 8월 7일 해수온 분포를 보면 북위 10~25도 사이에 30도 이상의 고수온역이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해당 해역은 고기압의 영향 하에서 해수온이 꾸준히 상승하는 경향에 있다. 현재는 열대저기압의 접근조차 불가한 영역이지만 에너지는 축적되고 있는 셈이다. 필리핀 동쪽으로 2개의 열대요란(95W:초록색 원, 96W:붉은색 원)이 존재 중이다. 95W는 발달하더라도 남중국해 진출이 사실상 정해져 있으나 상대적으로 동쪽에 위치한 96W는 어느 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