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시 정보/2014 115

북서태평양 현황 & 4호 태풍 전망 (2014-03-14)

앞선 포스팅 이후, 북서태평양에서는 몇가지 변화가 있었다. 현재는 소멸되었지만 필리핀 민다나오 섬 주변 해역에서 열대저기압(TD)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마셜 제도 내 동경 170도 인근 해역에서는 열대요란 94W가 발생, 현재 느리게 서진 중이다. 94W는 아직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의 감시 정보(ABPW10)와 일본 기상청(JMA)의 지상 일기도(ASAS)에서는 주시 외 대상이지만 주요 모델의 예측과 양호한 환경 등을 고려하면 향후 발달의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관심 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일단은 이 94W가 "4호 태풍 페이파" 후보. 94W가 위치한 마셜 제도 인근 해역의 해수면 온도는 30도 이상으로 매우 높다. 또한 CIMSS 분석 중층 유선도를 보면 94W의 북쪽에 자리 잡은 아..

북서태평양 현황 & 4호 태풍 전망 (2014-03-11)

3호 태풍 파사이 소멸 후, 북서태평양의 열대저기압 활동은 잠시 휴식기에 들어갔다. 2월까지 무려 3개의 태풍(평년값:약 0.6개)이 발생하면서 겨울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였지만 원래는 태풍 발생이 드문 시기이므로 불가피한 휴식기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시기는 열대저기압에 있어서는 과도기와 같은데, 완연한 봄으로의 계절 변화가 진행되면서 북서태평양의 열대저기압 활동은 점차 원활해질 것이긴 하나 아직은 다소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다. 3월 10일의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및 일본 기상청(JMA)의 감시 정보에도 이렇다 할 태풍 후보가 없어 "4호 태풍 페이파"의 발생은 현재로서는 기약이 없다. 500hPa 일기도를 보면 북위 20도 이북으로는 일본에 중심축을 둔 상층 기압골이, 이남으로는 ..

3호 태풍 파사이(03W) #3 - 48시간 내 온대저기압 변질 예상

WTPQ20 RJTD 050300 RSMC TROPICAL CYCLONE ADVISORY NAME TY 1403 FAXAI (1403) ANALYSIS PSTN 050300UTC 20.2N 153.2E GOOD MOVE NE 12KT PRES 975HPA MXWD 065KT GUST 095KT 50KT 40NM 30KT 210NM NORTH 150NM SOUTH FORECAST 24HF 060300UTC 23.9N 157.8E 85NM 70% MOVE ENE 16KT PRES 985HPA MXWD 050KT GUST 070KT 45HF 070000UTC 24.7N 163.8E 180NM 70% EXTRATROPICAL LOW = 발생 초기 괌 섬 남동쪽 해상에서 오랜 시간 정체하던 3호 태풍 파사이는 현..

3호 태풍 파사이(03W) #2 - "2월에 발생한 3호 태풍"

열대요란 93W가 2월 28일 오후 9시를 기해 "3호 태풍 파사이(03W FAXAI)"로 발달했다. 24시간 내 태풍 발생 예보가 처음 나온 것이 2월 26일 오후 3시였음을 생각한다면 예상보다 조금 늦은 발생이었지만 이전 포스트에서도 언급했던 "2월에 발생한 3호 태풍"을 간발의 차이로 달성하면서 이 기록을 세운 역대 두 번째 태풍(1965년 이래)이 되었다. 현재 예보에 따르면 태풍의 최성기 세력은 일본 기상청(JMA)으로부터 980hPa/55KT(30m/s),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로부터 60KT로 예측되었으며, 예상 경로가 당초 주요 모델이 예측했던 경로보다 동쪽으로 편향됨에 따라 마리아나 제도에 약간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외하면 별다른 영향 없이 소멸하는 태풍이 될 전망이다. 오전 ..

93W.INVEST #1 - "3호 태풍 파사이" 발생 예보

괌 섬 남동쪽 해상에 위치한 열대요란 93W에 대해 2월 26일 오후 3시를 기해 일본 기상청(JMA)이 24시간 내 태풍 발생을 예보했고,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또한 TCFA를 발령하면서 "3호 태풍 파사이"의 발생이 목전으로 다가왔다. 태풍의 암흑기라고 할 수 있는 2월 중순에 북서태평양 저위도 해역에서 발생, 발달의 기회를 엿보던 93W는 열대저기압의 발달에 다소 부정적인 환경 속에서 몇차례 소멸의 위기를 겪기도 했지만 결국은 생존하여 지금과 같은 결과를 이끌어 냈다. 예보대로 2월 중에 태풍 발생이 인정된다면 "2월에 발생한 3호 태풍"이라는 보기 드문 기록이 세워지므로 여기에도 주목해 볼 만하다. 위성 영상에서 93W의 모습을 보면 최근 수시간 동안 다소 빠르게 조직화가 이루어지면서 ..

북서태평양 현황 & 3호 태풍 전망 (2014-02-24)

이전 포스트 : 북서태평양 현황 & 3호 태풍 전망 (2014-02-19) 며칠 전 포스트에서 "3호 태풍 파사이" 후보로 언급했던 열대요란 93W는 비록 그 이후 별다른 발달이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소멸되지도 않은 채 추크 제도 인근 해역에 정체하면서 계속 열대요란으로서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 이것에 대해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여전히 발달 가능성 "LOW"를 부여 중이며 일본 기상청(JMA) 또한 1004hPa의 저압부(LPA)로 분석하고 있어, 두 기관의 감시 상황은 지난번과 거의 동일하다. 저위도 특유의 약한 전향력과 시기적인 한계로 좀처럼 발달의 계기를 잡지 못하는 모양새이지만 열대저기압에 있어서 암흑기나 다름없는 2월도 어느덧 막바지로 접어들었기 때문에 현재 상태를 꾸준히 유지한다면 ..

북서태평양 현황 & 3호 태풍 전망 (2014-02-19)

2호 태풍 가지키 소멸 후 한동안 조용하던 북서태평양에 최근 들어 조금 변화가 있었다. 열대요란 93W가 북서태평양 저위도 해역에서 발생했으며,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가 이 요란에 대해 발달 가능성 "LOW"를 부여한 데 이어서 일본 기상청(JMA) 또한 이것을 1008hPa의 저압부(LPA)로서 해석한 것이다. 발생 위치는 일기도 구석에서 간신히 확인될 정도로 먼데, 대륙 고기압이 영향력이 지대한 시기이므로 열대저기압이 활동 가능한 거의 유일한 해역이라 할 만하다. 일단 이 93W가 "3호 태풍 파사이" 후보. 위성 영상(가시 영상, 적외 강조 영상)을 보면 93W의 약한 하층 순환이 확인되며, 대류운은 주로 서쪽 반원에 편중된 가운데 붉은색의 강한 대류역은 드문드문하다. 아직 형태적으로 미숙..

북서태평양 현황 & 3호 태풍 전망 (2014-02-15)

2월 15일의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의 열대저기압 감시 정보(ABPW10)와 일본 기상청(JMA)의 지상 일기도(ASAS) 등을 보면 "3호 태풍 파사이"의 후보군이라고 할 수 있는 열대요란 및 저압부는 전무하다. 현재 이들의 주 발생원(發生源)인 저위도 열대수렴대가 남반구 쪽에 치우쳐 있으며 대륙 고기압의 세력권이 북위 10도 근처까지 이른 상태인 데다 통계 개시 이래 역대 2월 태풍 발생 수가 총 14개에 불과할 정도로 이 시기의 태풍 자체가 원체 드물기 때문에 "3호 태풍 파사이" 발생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서태평양의 태풍 활동은 2008~2011년의 4년 동안 극심한 침체기를 겪은 뒤 최근 몇년은 뚜렷한 회복세에 접어들었는데, 올해 또한 1월 중에 평년값(0...

92W.INVEST #1 - "2호 태풍 가지키" 발생 예보

"2호 태풍 가지키"의 발생이 임박했다. 북서태평양의 RSMC를 담당하는 일본 기상청(JMA)이 야프 섬의 동쪽 해상에 위치한 열대요란 92W에 대해 "24시간 내 태풍 발생"을 예보한 것.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또한 열대저기압 형성 경보(TCFA)를 발령하면서 이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은 매우 높다. 오후 3시 현재 세력은 JMA 해석 1002hPa/30KT, JTWC 해석 20KT. 예보대로 92W가 2호 태풍 가지키로 인정된다면 1월 중 2개의 태풍 발생이라는 흔치 않은 기록이 세워진다. 위성 영상에서 확인되는 92W의 모습은 아직 부실한 편. 중심 위치는 불명확하며 대류운은 중심권에는 거의 전무한 채 주로 북쪽과 서쪽에 편중되어 있다. 드보락 해석에서는 JMA가 T1.5를 ..